티스토리 뷰
첫번째시간 : 안드로이드 폰에 리눅스(Ubuntu 14.04 LTS)를 설치한다.
(Wi-Fi Keep Alive ,busybox, linux deploy)
두번째시간 : 웹서버를 구축한다.
(Xshell)
세번째시간 : 워드프레스를 설치한다.
(FTP , phpmyadmin)
사용 가능한 패키지들과 그 버전들의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명령어이다.
sudo apt-get update
vim을 설치한다.
sudo apt-get -y install vim
관리자 비밀번호 설정한다.
sudo passwd root
vi사용법:
vi 를 앞에다 쓰고 뒤에 열 파일을 쓴다.(없으면 생성됨)
ex) vi /etc/ssh/sshd_config
하단에 아무것도 없을때 :,?,i를 눌러보자
:q -> 닫기
:q! -> 강제로 닫기
:w -> 저장
:wq -> 저장하고 닫기
:set number ->줄 번호 보이기
?example -> "example" 문자열찾기
i는 글을 수정하는 모드이다.
ssh root 접속 허용한다.
sudo vi /etc/ssh/sshd_config
PermitRootLogin의 값을 yes로 변경하고 저장한다.
다음 영상을 보면 도움이 된다.
아파치 설치 : sudo apt-get install -y apache2;
아파치 설치 중
AH00558: apache2: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's fully qualified domain name, using ::1. Set the 'ServerName' directive globally to suppress this message
이런 에러가 나온다면
sudo vi /etc/apache2/apache2.conf
마지막줄에 ServerName localhost를 추가한다.
mysql 인증모듈설치 : sudo apt-get install -y libapache2-mod-auth-mysql;
mysql 설치 : sudo apt-get install -y mysql-server mysql-client;
[Warning] Using unique option prefix key_buffer instead of key_buffer_size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. Please use the full name instead.
이런 경고가 나온다면
sudo vi /etc/mysql/my.cnf
(51번째줄)
key_buffer = 16M
를
key_buffer_size = 16M
myisam-recover = BACKUP
를
myisam-recover-options = BACKUP
변경하면 된다.(언더바와 하이픈에 주의한다.)
apache php 연동 : sudo apt-get install -y php5-common php5 libapache2-mod-php5;
php mysql 연동 : sudo apt-get install -y php5-mysql;
apache 재시작 : sudo /etc/init.d/apache2 restart;
mysql 재시작 : sudo /etc/init.d/mysql restart;
pc에서 내부아이피로 접속해보자
cd /var/www/html에 있는 index.html파일이다.
apache2 ,mysql 서비스 자동 실행
Linux Deploy앱이 꺼졌을때마다 PC에서 Xshell5로 접속하여
서비스를 켜주는일이 번거롭다.
sudo vi /etc/init.d/startScript
/etc/init.d에 startScript 파일을 만들어 다음을 입력하고 저장한다.
#!/bin/bash
sudo /etc/init.d/apache2 restart;
sudo /etc/init.d/mysql restart;
저장한뒤에
startScript의 파일 권한을 변경해주고
sudo chmod +x /etc/init.d/startScript
시작스크립트로 설정한다.
sudo update-rc.d startScript defaults
Linux Deploy에서 사용자 스크립트를 켜주고 스크립트 목록을 누른다.
/etc/init.d/myscript를 지우고
/etc/init.d/startScript를 추가한다.
정지후 시작해보자
mysql 한글이 물음표로 나오는 문제
sudo vi /etc/mysql/my.cnf
다음을 보고 적당한곳에 추가하자
[client] 밑에
default-character-set = utf8
[mysqld] 밑에
init_connect = SET collation_connection = utf8_general_ci
init_connect = SET NAMES utf8
character-set-server = utf8
collation-server = utf8_general_ci
[mysqldump] 밑에
default-character-set = utf8
[mysql] 밑에
default-character-set = utf8
mysql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싫다면
[mysqld]밑에
lower_case_table_names = 1
도 추가하자
저장후 mysql 재시작
sudo /etc/init.d/mysql restart;
php <?php 대신 <? 사용하기
sudo vi /etc/php5/apache2/php.ini
short_open_tag의 설정을 on
sudo /etc/init.d/apache2 restart;
업로드 용량 설정하기
sudo vi /etc/php5/apache2/php.ini
upload_max_filesize = 1000M
post_max_size = 1000M
memory_limit = 1000M
max_execution_time = 300
max_input_time = 600
sudo /etc/init.d/apache2 restart;
3편으로
'공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기계에 웹서버를 구축해보자(4) (2) | 2018.02.18 |
---|---|
[PHP5]ckeditor ajax 이미지 다중 업로드 기능을 추가해보자(2) (2) | 2017.12.08 |
[PHP5]ckeditor ajax 이미지 다중 업로드 기능을 추가해보자(1) (0) | 2017.12.06 |
공기계에 웹서버를 구축해보자(3) (1) | 2017.11.09 |
공기계에 웹서버를 구축해보자(1) (1) | 2017.11.07 |